수상돌기(영어: dendrite)라는 단어는 "나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뉴런의 분기된 세포질 과정으로, 주요 기능은 다른 신경 세포의 전기화학적 자극을 세포체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것을 '세포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전기 자극은 일반적으로 수상돌기의 나무 모양 구조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시냅스를 통해 수상돌기로 전달됩니다. 수상돌기는 이러한 시냅스 입력을 통합하고 뉴런이 활동 전위를 생성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수상돌기는 단순한 신호 수신기가 아닙니다. 그 구조와 기능은 뉴런 메시지 처리의 핵심입니다.
수상돌기는 뉴런의 세포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두 가지 세포질 과정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하나는 축삭입니다. 수상돌기는 모양, 길이, 기능을 포함한 여러 특성으로 축삭과 구별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상돌기는 점점 가늘어지고 모양이 더 짧은 반면, 축삭은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고 매우 길 수 있습니다. 수상돌기의 주요 기능은 다른 뉴런의 축삭 말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큰 원추세포의 수상돌기는 약 30,000개의 시냅스전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흥분성 시냅스는 고밀도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를 포함하는 수상돌기의 작은 돌출부인 수상돌기 가시에서 종결됩니다. 대부분의 억제성 시냅스는 수상돌기의 주 줄기와 직접 접촉합니다. 시냅스 활동은 거리에 따라 점진적으로 약화되는 수지상 막 전위의 국지적 변화를 유도합니다.
활동 전위를 생성하려면 많은 흥분성 시냅스가 동시에 활성화되어 수상돌기와 세포체의 강력한 탈분극을 유발해야 합니다.
수상돌기라는 용어는 1889년 Wilhelm His가 신경 세포를 연결하는 많은 작은 "원형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습니다. 독일의 해부학자 Otto Deiters는 일반적으로 축삭을 수상돌기와 구별하여 축삭의 발견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신경계의 최초 세포 내 기록은 1930년대 Kenneth S. Cole과 Howard J. Curtis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스위스의 Rüdolf Albert von Kölliker와 독일의 Robert Remak는 축삭의 초기 부분을 최초로 식별하고 기술했습니다. 나중에 Alan Hodgkin과 Andrew Huxley는 오징어의 거대한 축삭을 사용하여 활동 전위에 대한 완전한 정량적 설명을 제공했으며, 이로 인해 1963년 노벨상도 수상했습니다.
수상돌기가 발달하는 동안 감각 입력 조절, 환경 오염 물질, 체온,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요인이 수상돌기의 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두운 환경에서 자란 생쥐의 일차시각피질에 있는 원뿔세포의 수는 수지상 능선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성상세포의 수지상 가지의 분포도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습니다.
수상돌기의 복잡한 나무 모양 구조는 여러 외부 신호와 내부 신호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됩니다.
수상돌기는 다양한 유기체에서 다양한 형태적 패턴을 형성하며 이러한 가지의 형태(예: 가지 밀도 및 분포 패턴)는 뉴런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상돌기의 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때로는 최대 100,000개의 서로 다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습니다. 수상돌기 형태 오류는 신경계 기능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상돌기의 형태는 가지가 없는 구조일 수도 있고 나무처럼 방사형 구조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수지상 가지 패턴은 방추형, 구형이거나 소뇌의 퍼킨예 세포와 같이 다면형 모양을 취할 수 있습니다.
뉴런의 수지상 구조, 가지 및 전압 의존적 이온 전도도의 변화는 뉴런이 다른 뉴런의 입력을 통합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수상돌기는 전기 자극을 수동적으로 전달하는 것 이상으로 생각되지만 성인 생활에서 소성 구조 조정이 가능합니다. 수상돌기로 구성된 부분을 기능 단위라고 하며, 들어오는 자극을 계산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최근 실험 관찰에 따르면 수지상 돌기 적응은 몇 초 내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신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수 있습니다. 수상돌기의 구성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임신이나 호르몬 주기의 영향으로 수상돌기 구조는 최대 30%까지 바뀔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를 궁금하게 만듭니다. 수상돌기의 진화와 학습 능력 사이에 더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