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전쟁 기술에서 발사속도는 무기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발사 속도, 즉 특정 무기가 탄약을 발사하거나 방출하는 빈도는 사용자의 훈련 수준, 기계적 한계, 탄약 가용성, 무기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발사속도 측정은 일반적으로 분당 발사수(RPM)나 초당 발사수(RPS)로 표현됩니다.
발사 속도 측정에는 연속 속도, 지속 속도, 급속 속도의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재발률이란 과열, 마모 또는 탄약 제한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 기능에만 근거한 최대 발사 속도를 말합니다. 지속 발사 속도가란 재장전과 무기의 적절한 냉각 상태를 고려한 최대 효율적인 발사 속도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급속 화재 발생률은 장시간 지속될 필요가 없는 비상 상황에서 가장 합리적인 화재 발생률입니다. 이러한 비율은 무기가 실제 전투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볼트 액션 소총이나 포병대와 같은 수동 작동 무기의 경우 발사 속도는 주로 사용자 또는 승무원의 훈련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특정한 기계적 제약이 따릅니다. 반면 자동 무기(기관총 등)의 경우 발사 속도가 가장 중요한 기계적 특성입니다. 고주기 사격은 항공기나 엄폐물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표적 등 기관총 사격에 노출된 표적을 공격할 때 유리합니다.
일반적으로 반자동 무기의 발사 속도는 주로 사용자의 방아쇠를 당기는 능력과 조준 사격 시 반동 시간에 영향을 받습니다.
20세기 이래로 무기의 발사 속도는 계속해서 증가했고, 구식 무기로 고통받는 군대는 화력 성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졌습니다. 현대 무기의 발달로 인해 현대 소총과 기관총을 갖춘 소규모 보병부대가 실제로 화력 면에서 구형 무기를 갖춘 대규모 보병부대를 능가할 수 있게 되었다.
발사 속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그 속도는 자동 무기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이 측정은 자동 또는 반자동 총기에서 단발이 발사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각 사이클이 끝나면 무기는 다음 발을 발사할 준비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소총의 발사 속도는 600~1100RPM이고, 기관단총과 기관총의 발사 속도는 400~1400RPM입니다.
유효율이란 현실적인 환경에서 무기가 계속 발사될 수 있는 시간을 말합니다. 일부 무기는 이론적으로 최대 6,000RPM까지 속도를 낼 수 있지만, 실제로는 60초간 연속 발사하면 무기의 일부가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발사 속도는 무기의 절대적인 최대 발사 속도를 말하며, 빠른 속도는 일반적으로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총기를 말합니다. 이러한 비율은 매복 공격이나 압도적인 병력이 있는 경우 오랫동안 유지할 수는 없지만, 필요한 화력 지원을 제공할 수는 있습니다.
화재 속도에 대한 주요 제한 중 하나는 열입니다. 수동 소총조차도 연속 사격 시 열이 발생하고, 기관총은 발생하는 열로 인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많은 기관총 팀은 짧은 시간 안에 교체할 수 있도록 최소한 하나의 예비 총신을 가지고 다닙니다.
과열 문제로 인해 탄약이 예기치 않게 방출되거나, 더 나쁜 경우 무기가 발사되지 않거나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 항공기의 무기에는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비행 중 외부 공기가 무기를 식혀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항공기에 장착된 기관총이나 자동대포의 지속적인 화력도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된 무기보다 더 강력합니다.
발사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소는 탄약 공급입니다. 예를 들어, M134 회전식 기관총을 초당 50발의 속도로 5초간 발사하려면 약 6.3kg의 7.62mm 탄약이 필요한데, 이는 보병에게는 실행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속 발사 무기는 무기와 탄약 자체의 무게 제한으로 인해 차량이나 고정 시설에서만 발견됩니다. 무기 기술의 발달로 화력의 측정과 최적화가 가능해졌지만, 이로 인해 미래의 무기 개발에서는 어느 수준의 화력 속도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