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Hong Youm
Dong-a University
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Chang-Hong Youm.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12
Chang-Hong Youm; Tae-Hyeo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duced fatigue of the ankle joint muscles affects the capability and recovery of postural control during single-leg stance in healthy adult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22 randomly recruited men and women. Postural control was performed on single-leg stance with eyes open. Ankle joint muscle was fatigued by repeated heel rai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anteroposterior variables,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enter of mass velocity and decreased center of pressure 95% edge frequency immediately after fatigue. For the mediolateral variables,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enter of mass velocity and decreased center of pressure 95% edge frequency immediately after fatigue. For the total variables,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enter of mass averaged-velocity immediately after fatigue, and also, the center of pressure 95% confidence ellipse area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Postural control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men and women at any time (Pre, P0, P10, and P20). In conclusion, the gender does not affect the capability and recovery after induced fatigue of ankle joint muscles. The effect of fatigue found for the anteroposterior and the mediolateral variables in both men and women. Furthermore ankle joint muscle fatigue led to change of postural control strategy from an ankle joint strategy towards a hip joint strategy. These changes are believed to damage postural control. The ankle joint muscle recovered from fatigue within 20 min during single-leg stanc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13
Tae-Hyeon Kim; Chang-Hong Youm
이 연구는 착지 시 충격 흡수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무릎 관절 근육군의 피로와 과체중이 하지의 부상 기전과 관련된 소요시간 및 하지 관절의 각변위와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착지는 일상생활이나 운동 수행 시 자주 일어나는 동작으로 인체는 주로 발목 관절, 무릎관절, 엉덩관절을 통해 착지 시 부하의 전이를 최소화하고 흡수한다(Dufek & Bates, 1990). 특히 무릎관절은 하지의 관절 중에서 착지 시 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로서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Decker et al., 2003; Zhang et al., 2000). 또한 착지는 발목 염좌뿐 아니라 비접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같은 주요한 무릎관절의 손상 요인이다(Chappell et al., 2002, 2005; Decker et al., 2003; Devita & Skelly, 1992; Malinzak et al., 2001).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착지 시 충격력과 무릎 부하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체역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비접촉성 전방십자인대 부상의 잠재적 위험 요인들에 관한 연구는 해부학적 및 호르몬 요인과 신경근 및 생체역학적 요인으로 나누어 접근하였으며, 특히 수정이 가능한 신경근 및 생체역학적 요인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Benjaminse et al., 2008; Harmon & Ireland, 2000). 따라서 잠재적으로 수정 가능한 요인으로 신경근 피로에 대한 연구와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발목 염좌와 같은 하지 부상 기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생체 역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Cortes et al., 2007; Dufek & Bates, 1990; Onate et al., 2005; Padua, Carcia, Arnold & Granata, 2005). 피로는 근골격계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으로, 대부분의 선수 부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활발한 운동이나 시합의 후반에 일어난다(Chappell et al., 2005; Padua et al., 2006). 이러한 피로의 누적은 무릎의 동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 결과, 무릎관절은 느슨 해지고, 운동 제어 능력은 감소되며, 균형 제어 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의 감소가 나타난다(Johnston, Howard, Cawley & Losse, 1998; Miura et al., 2004; Rozzy, Lephart & Fu, 1999). 결과적으로 착지 시 충격력에 의한 부하의 전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한다면, 경골의 피로골절, 무릎의 연골 연화증, 연골과 요추 부상(Dufek & Bates, 1990), 발목 염좌와 비접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Chappell et al., 2002, 2005; Decker et al., 2003; Devita & Skelly, 1992; Malinzak et al., 2001) 등의 부상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에서 하지의 구간별 각변위는 전후면, 좌우면, 수평면상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무릎관절은 성별에 상관없이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는 주요한 부위이며(Decker et al., 2003), 착지와 관련된 전방십자인대 부상 기전에서도 무릎관절의 각도 변화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Padua et al., 2006; Russell, Palmieri, Zinder & Ingersoll, 2006). 착지 시발이 지면에 접촉하는 시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무릎관절을 보다 신전된 자세로 착지하며(Cortes et al., 2007), 무릎 관절 외반의 움직임이 보다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appell, Creighton, Giuliani, Yu & Garrett, 2007). 착지 기술 전략은 연성 착지와 경성 착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무릎 신전근은 연성 착지 시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고, 발목 저측굴곡근은 경성 착지 시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Devita & Skelly, 1992). 이 연구의 무릎관절 근육 피로 전과 후에서 정상 체중과 과체중 그룹 모두 연성 착지 형태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무릎관절의 구간별 각변위 결과는 전후면상 P1에서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중 그룹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Devita & Skelly(1992)의 연구에 의하면, 착지 시 피험자들은 무릎관절 굴곡 각도를 크게 하여 충격을 줄이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Kellis & Kouvelioti(2009)는 무릎관절의 신전근 피로 시 착지의 초기 접촉 시 최대 무릎관절 및 엉덩관절 굴곡각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Gehring et al.(2009)는 무릎 관절 신전근 피로 시 최대 무릎관절 굴곡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Chappell et al.(2002, 2005)은 무릎관절 굴곡 각도를 작게 하여 충격을 줄인다고 보고하여 다양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정상 체중 그룹의 경우,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하지 관절들을 보다 굴곡 시켜야하며, 특히 무릎관절은 보다 더 굴곡 시켜야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Decker et al., 2003, Devita & Skelly, 1992; Dufek & Bates, 1990; Zhang et al., 2000)와 유사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체중 그룹의 경우에는 정상 체중 그룹보다 무릎관절 굴곡 각도를 작게 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피로 후 보다 무릎 관절 안정성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Chappell et. al., 2002, 2005). 이러한 이유는 무릎관절 굴곡 각도의 감소가 무릎관절의 외반을 감소시키고 무릎관절의 작은 굴곡 각도는 무릎관절의 신전 근력을 크게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Lepers, Hausswirth, Maiuletti, Briswalter & Hoecke, 2000). 또한 착지 시 무릎관절 굴곡 각도 감소는 뼈의 구조와 무릎을 둘러싼 측부 인대와 같은 비수축성 조직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pers et al., 2000). 이로 인하여 이 연구의 좌우면상 P1에서 두 그룹 모두 피로 후 무릎 관절 각변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그룹 간에는 피로 전과 후 모두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중 그룹보다 무릎 관절 각변위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발목관절의 구간별 각변위 결과는 전후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상 체중 그룹과 과체중 그룹 모두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발목관절의 각변위를 크게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Devita & Skelly, 1992; Dufek & Bates, 1990; Gehring et al., 2009; Zhang et al., 2000). 이와 같은 발목관절 배측굴곡의 가동 범위 증가는 부하가 주어졌을 때, 경골을 앞쪽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준다(Hertel, 2002). 이 연구의 좌우면과 수평면상 P1에서는 피로 효과로 인하여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피로 후 발목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의도로 판단되며, 발목관절의 내번 움직임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Lepers et al., 2000). 엉덩관절의 구간별 각변위는 전후면상 P1과 P2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피로와 성차에 따른 착지 연구에서 엉덩관절 굴곡 각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한 Habu, Sell, Myers, Abt & Lephart.(2004)의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여성의 착지 특성은 엉덩관절의 굴곡 각도의 감소가 나타난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Decker et al., 2003; Malinzak et al., 2001). 좌우면상 P1에서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중 그룹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로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도 마찬가지로 무릎관절 굴곡을 크게 하는 착지 전략과 작게 하는 전략 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상 체중 그룹의 착지 전략과 과체중 그룹의 착지 전략 간의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착지 시 발생되는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착지 방법을 교육할 수 있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피로 유발 후 착지 시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략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전략은 착지 시 발목관절에 크게 의존하는 발목 우성전략, 착지 시 길항근 근활성 패턴이 감소하는 길항근 억제전략, 착지 시 대퇴사두근에 보다 크게 의존하는 대퇴사두근 우성전략으로 구성된다(Padua et al., 2006). 피로 시 남녀 모두 발목 우성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Padua et al., 2006),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발목 우성전략과 대퇴사두근 우성전략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의 이벤트별 모멘트는 전후면, 좌우면, 수평면상의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무릎관절의 이벤트별 모멘트 결과는 전후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무릎관절의 신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 무릎굴곡 시점(E3)에서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중 그룹보다 무릎관절의 신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무릎관절의 외반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면상 초기 접촉 시점(E1)에서 피로 후 무릎관절의 내측 회전 모멘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무릎굴곡 시점(E3)에서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 중 그룹보다 무릎관절의 외측 회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후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무릎관절의 신전 모멘트 감소는 Nyland, Shapiro, Caborn, Nitz & Malone (1997)의 연구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Nyland et al.(1997)에 의하면, 햄스트링 근육 피로 시 최대 충격 시점에서 무릎 관절의 신전 모멘트의 감소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무릎관절 굴곡 각도의 감소는 수직지면반력 증가, 경골 원위부의 전방 전단력 증가, 무릎 신전 모멘트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곧 충격력 증가의 원인이 된다(Chappell et al., 2002; Decker et al., 2003; Devita & Skelly, 1992; Malinzak et al., 2001). Benjaminse et al.(2008)은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달리기를 이용하여 피로를 유발시켰을 때, 외발 스톱-점프 과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피로는 초기 접촉 시 최대 무릎 외반각도 감소, 무릎관절 굴곡 각도 감소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러한 무릎관절 외반 각도 감소는 전방십자인대의 압박과 관련된 무릎관절 내반 각도 증가와 무릎관절 외반 모멘트 증가를 막기 위한 방어적인 노력으로 판단된다(Benjaminse et al., 2008). 이러한 결과는 무릎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좌우면 상에서 하지를 중립 자세로 유지하고자 노력한 결과라고 보고하였다(Benjaminse et al., 2008). 위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이 연구 결과에서도 피로 후 무릎관절의 외반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목관절의 이벤트별 모멘트 결과는 전후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발목관절 저측굴곡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발목 관절 내번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무릎굴곡 시점(E3)에서 정상 체중 그룹은 발목 관절 내번 모멘트가 나타났으나, 과체중 그룹에서는 외번 모멘트가 나타났다. 수평면상 초기 접촉 시점(E1)에서 피로 후 발목 관절 내측 회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발목 관절 외측 회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착지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 착지가 일어나는 전 구간에서 하지 관절들을 보다 굴곡시켜야하며(Decker et al., 2003, Devita & Skelly, 1992), 발의 앞꿈치부터 착지가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Gross & Nelson, 1988; Valiant & Cavanagh, 1985). 나아가 착지 시 부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중립 자세를 유지하고, 착지 후 빨리 안정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Ross & Guskiewicz, 2003; Wikstrom, Powers & Tillman, 2004). 따라서 이 연구의 과체중 그룹의 경우, 초기 접촉 시점(E1)에서 발목관절의 배측굴곡 모멘트가 정상 체중 그룹보다 다소 큰 경향이 나타났으며, 수평면상 초기 접촉 시점(E1)에서 피로 후 내측 회전 모멘트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보다 신전된 자세와 안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발목관절의 배측 굴곡근과 내측 회전근 사용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정상 체중 그룹의 경우,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발목관절의 저측굴곡 모멘트, 내번 모멘트, 외측 회전 모멘트 감소는 충격 흡수와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목관절 저측 굴곡근, 내번근, 외측 회전근의 이용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엉덩관절의 이벤트별 모멘트 결과는 전후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엉덩관절의 신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상 체중 그룹이 과체중 그룹보다 엉덩관절 신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엉덩관절의 외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면상 최대 수직지면반력 시점(E2)에서 피로 후 내측 회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여성의 착지 특성은 엉덩관절의 굴곡 각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엉덩관절의 신전근 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을 말한다 (Decker et al., 2003; Malinzak et al., 2001). 이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피로 후 엉덩관절의 신전 모멘트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피로로 인하여 엉덩 관절 신전근의 주동근 활동이 증가된 것으로 여겨진다.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 2017
Minji Son; Chang-Hong Youm; Sang-Myung Cheon; Jae Woo Kim; Meounggon Lee; Youkyung Kim; Jinhee Kim; Hyeryun Sung
Background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PD) experience problems such as falls and freezing of gait during walking and turning in daily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multaneous turning tasks and the severity of PD.AimTo investigate turning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D using three-dimensional (3D) analysis during the timed up and go (TUG) test.MethodsThirty individuals performed the TUG test under 3D motion analysis: 10 patients with Hoehn and Yahr (H&Y) stages 2.5 and 3.0 PD (group I), 10 patients with H&Y stage 2.0 PD (group II), and 10 healthy older adult controls. Spatiotemporal and kinematic variables were analyzed during the TUG test with a Vicon 3-D motion analysis system.ResultsThe walking speed, step length, step length asymmetry index, range of motion of the hip, knee, and shoulder joints, and foot clearance height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patients with PD and the controls. The step length and foot clearance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I and II.DiscussionThe step length and foot clearance are different between the severity levels of PD, and the TUG test may be useful for identifying turning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D.ConclusionsPatients with PD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of interest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step length and foot clearance height as well as the TUG test during the turning phase may be helpful for measuring turning in patients with different severity levels of PD.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07
Young-Hoon Park; Chang-Hong Youm; Kuk-Woong Seo; Kook-Eun Seo
Grould Reaction force(GRF) is important in human movements and GRF measurement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in biomechanical studies. In the studies of the golf swing motion, people refer to GRF as weight transfer. A successful golf swing motion requires many segments activation sequences which are controled by the nerve system. Due to the inter- and intra-individual variability of the human movement and the movement strategies,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s are important in human movement studies. Previous golf researches were based on group studies and certain events` values were analyz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number of trials for the reliable golf swing GRF data collection, to reveal the variability level of the meaningful components of the golf swing GRF,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the golf swing GRF patterns. Twenty three male professional golfers( years, , ) signed an informed consent form prior to participation in this study. GRFs of driver swings were collected with Kistler 9285 force platform and 9865A amplifier, and calculated by the KwonGRF program(Visol, Korea). Sampling frequency was 1080 Hz. GRF data were trimmed from 1.5 s prior to the impact to 0.5 s after the impact. The number of trials for the reliable GRF collection was determined when the change in floating mean overs the 25 %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at variable. Variabilities of the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of 10 %. The types of GRF patterns were determined by visual inspection of the peak GRF shapes. The minimum number of trials for the reliable golf swing GRF data collection was five. Ten-trial seems more conservative. The value of the peak GRF was more reliable than the value of the impact GRF. The CV of the peak GRF and impact GRF were 7.4 %, 15.2 %, respectively. Because of the +/- sigh of the peak GRF appearance time, it was impossible to calculate CV of the peak GRF appearance time. Golf swing GRF patterns were classified as sing peak type, double peak type, and plateau peak type. This classification suggests the presence of the different golf swing weight transfer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11
Hyun-Jin Oh; Chang-Hong Youm; Tae-Hyeo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induced fatigue and blocked vision on postural control during upright stance in elderly women.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22 women who were aged over 65 years, had no sustained orthopedic damage within the last 6 months, and had been randomly recrui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mediolateral and anteroposterior factors for the center of pressure. The exercise-induced fatigue and the absence of visual information increased the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velocity for center of pressure. This means that the elderly women could control their posture through many sways. In conclusion, the exercise-induced fatigue and the blocked vision decreased ability of the postural control in elderly women. Further research on the change of postural control in relation to the types of exercise-induced fatigue and the levels of muscular fatigue is expected.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07
Young-Hoon Park; Chang-Hong Youm; Kuk-Woong Seo
Putting score counts about 43 % of the golf score. The dominant idea of the putting motion to amateur golfers as well as to many professional golfers is a pendulum-like motion. If a golfer`s putting stroke motion is a pendulum-like motion, the putting motion should be straight-back-and-through, the same backswing, downswing, and follow through length and period, and a swing with a fixed hinge joint. If the putting motions of the human are different from the pendulum motion, there could be confusion in understanding and teaching golf pu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enter of rotation(COR) of the putter head to reveal whether professional golfers really putt like a pendulum. Thirteen male professional golfe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Each golfers executed 10.94 m putts six times on an artificial grass mat. Putter head posi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60 Hz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and low pass filtered with cut-off frequency of 6 Hz. COR of the putter head was mathematically acquired. Each golfer`s last five putting motion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 of the putter head was neither fixed nor located inside of the golfer. The medio-lateral directional component of the COR of the putter head fluctuated in the range of 10 cm during downswing and follow through.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al component of the COR of the putter head was fixed from the beginning of the downswing through impact. Just after impact, however, it moved to the target up to 60 cm. The superior-inferior directional component of COR of the putter head moved in a superior direct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downswing and showed peak height just prior to impact. During the follow through, it moved back in an inferior direction. The height-normalized peak value of the COR of the putter head was height. Technically speaking, male professional golfers` 10.94 m putting motion is not a pendulum-like motion. The dominating idea of a pendulum-like motion in putting might come from the image of the flawless, smooth motion of a pendulum.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07
Eun-Kyung Pyun; Young-Hoon Park; Chang-Hong Youm; Sheng Sun; Kuk-Woong Seo; Kook-Eun Seo
Even though there were no clear definitions of the short game and short game distance, short game capability is crucial for a good golf score. Generally, chip shot and pitch shot are regarded as two principal components of the short game. Chip shot is a short, low trajectory shot played to the green or from trouble back into play. Pitch shot is a high trajectory shot of short length. Biomechanical studies were conducted usually to analyze full swing and putting mo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eal the kinematical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 golfers` 30 yard chip shot and pitch shot motions. Fifteen male professional golfe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Kinematical data were collected by the 60 Hz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made by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 of the SPSS 12.0K with the value of .05. Results show that both the left hand and the ball were placed left of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foot at address. The left hand position of the chip shot was significantly left side of that of the pitch shot. But the ball position of the pitch shot was significantly right side of that of the chip shot. All body segments aligned to the left of the target line, open, at address. Except shoul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pelvis, knee, and feet alignment differences between chip shot and pitch shot. These differences at address seem for the ball height control. Pitch shot swing motions(the shoulder and pelvis rotation and the club head travel distance) were significantly bigger than those of the chip shot. Club head velocity of the pitch shot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the chip shot at the moment of impact. This was for the same shot length control with different lofted clubs. Swing motion differences seem mainly caused by the same shot length control with different ball height control.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14
Tae-Hyeon Kim; Chang-Hong Yo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ee joint muscle fatigue and overweight on shock absorption during single-leg landing of adult women. Written informed consent forms, which were approved by the human subject research and review committee at Dong-A University, were provided to all subject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2 groups: a normal weight group and an overweight group, consisting of 15 young women each. Both the normal 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showed that use soft landing and ankle dominant strategy. The peak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the knee joint absorption power, and eccentric work done, as the increase of knee joint muscle fatigue level, showed a decrease. And the hip joint absorption power and eccentric work done, as the increase of weight, was less than the overweight group showed the normal weight group. In conclusion, the accumulation of the knee joint muscle fatigue and the increase of body weight may lead to an increased risk of injury during land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08
Joong-Dal Shin; Chang-Hong Youm; Dae-Sung Moon; Woo-Kyu Kim; Young-Hoon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per sampling duration while executing quiet stance of feet together position and a preferred foot position with eyes open using COP variables through GRF system.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twenty healthy elderly women individuals( years). It represented that the sampling duration needed over 20 s in the FTP and over 60 s in the PFP during assessment of quiet stance. The sampling duration shorter than 20 s in the FTP and 60 s in the PFP may not provide the sample showing stability. Inversely if the sampling duration becomes longer, it can distort the sample showing stability. In the future, I expect more studies of the proper sampling duration through various groups and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caused by more sampl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 2007
Tae-Jin Park; Chang-Hong Youm; Young-Hoon Park; Sheng Sun; Kuk-Woong Seo; Kook-Eun Se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inemat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hort(2.17 m) and long(10.94 m) putting stroke motions. Thirteen male professional golf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artificial grass mat in the gymnasium. Kinematic data were collected by the 60 Hz Kwon3D motion analysis system. Differences were compared by SPSS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Duncan was used for post-hoc test an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