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Kyu Yeo
Jeju National University
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In-Kyu Yeo.
Journal of Life Science | 2008
Young-Gun Moon; Chang-Young Song; In-Kyu Yeo; Gi-Young Kim; Moon-Soo Heo
To develop natural food preservatives, m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Suaeda maritima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2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bacteria,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Methanol extracts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the 5 Gram positve and 7 Gram negative bacteria by agar diffusion metho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on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aeda maritima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shown in root, stem, furit extracts of Suaeda maritima. However stem and fruit extracts showed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Root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microorganisms tested, such as Bacillus cereus,Bacillus subtilis,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test was found in the methanol extract.
Journal of Life Science | 2007
Young-Gun Moon; In-Kyu Yeo; Moon-Soo Heo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growth effect of Prunella vulgaris. aleutica Fernald(leaf and flower) extracts on various lactic acid bacterias,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cell count of Enterococcus faecium KCCM 12118, Lactobacillus rhamnosus KCCM 32826,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542, Pediococcus pentosaceus KCCM 40464 in the absence at after 48hr were . On the other hand, the total cell count of E. faeci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in the presence of Prunella vulgaris. aleutica Fernald(leaf and flower) extracts(10%) at after 48hr were .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ndicated to E. faeci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M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added by 10% Prunella vulgaris. aleutica Fernald(leaf and flower) extracts, respectively. when 10% native plant extracts were added lactic acid bacteria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s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 plantarum KCCM 11542, L. rhamnosus KCCM 32826, E. faecium KCCM 12118, P. pentosaceus KCCM 40464 showed higher than that of control.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4
Hye-Na Moon; Jin Namgung; In-Kyu Yeo
칼슘은 척추동물 내에서 뼈 및 치아의 형성, 신경전달 활성근 육의 수축 및 이완, 혈액 응고, 체액의 산, 알칼리성 평형, 호르 몬과 여러 효소들의 활성, 세포분열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 질로 알려져 있다(Paterson, 1978; NRC, 1993). 어류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체내 에 칼슘을 축적하고, 수중에 녹아있는 칼슘을 아가미를 통하여 흡수한다. 아가미는 어류와 물 사이의 접촉점이 되는 가장 중요 한 부위이며(Parry, 1966), 수중 칼슘을 흡수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Herrmann-Erlee and Flik, 1989; Flik et al., 1993). 어류는 아가미를 통해 수중에 존재하는 칼슘을 직접적 으로 흡수하며, 그 중 일부는 장을 통하여 흡수된다. 칼슘 배설 은 주로 소변을 통해 이루어진다(Flik et al., 1993). 해산어류는 상당한 양의 칼슘(약 10 mmol 1-1)이 용해되어 있는 해수를 마 시기 때문에 고농도의 뇨를 배출하여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 지하고 동시에 현저한 칼슘을 축적하므로, 장 상피세포의 칼슘 투과유량이 담수어류에 비해 낮은 편이다(Flik et al., 1996). 반 면 담수어류는 주변 이온농도 보다 체내 삼투압이 높아 몸 안으 로 물이 계속 유입되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묽은 뇨 를 생산하며, 칼슘 손실은 칼슘의 재흡수 활동을 통해 최소화 시킨다(Hickman, 1968; Schmidet-nielsen et al., 1975; Renfro et al., 1982). 어류는 번식시기에 달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칼슘을 필요로 하며,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경우, 성숙 시기 별 혈중 칼슘 수치를 비교한 결과 미성숙 시기보다 성숙시기 에 혈중 칼슘 농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Yeo and Mugiya, 1998). 또한, 대서양 대구(Gadus morhua)에서도 생식 소를 발달시키기 위해 산란 전에 장내의 칼슘 흡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Sundell and Bjornsson, 1988). 이 처럼 어류에 있어서 성숙시기나 빠른 성장이 요구되는 어린 시 기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칼슘흡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 CaO (oxide calcium)가 첨가된 사료 공급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미치는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7
Hye-Na Moon; Jin-hee Park; Cheon-man Park; Jin Namgung; Ki-hyuk Kim; In-Kyu Yeo
최근 지속적인 산업 발달 및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화석연료 의 사용량이 증가 됨에 따라 대기 중에 방출되는 CO2의 방출량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Solomon et al., 2007). 특히 화석연료 의 연소에 의해 방출된 대기중의 CO2는 해양으로 흡수되어 탄 산염(carbonate) 및 중탄산염(bicarbonate)을 생성하게 되고, 해 양의 수소이온농도(pH)의 감소를 유도하여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를 초래한다(Gattuso and Buddemeier, 2000). 일반적으로 자연상태 해수(약 35 psu)의 pH는 7.8-8.2의 범위 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pH가 그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극히 드 물었지만, 앞서 언급 하였듯이 CO2의 방출량 증가로 인한 기후 의 변화로 인해 해양의 pH가 산성화됨에 따라 해양생태계에 큰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Knutzen, 1981). 이에 해 양 산성화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 해양 산성화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Gattuso and Hansson, 2011).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 생물은 pH가 미미하게 변화하여 도 스트레스의 요인으로서 크게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학적 영 향을 야기하게 된다(Pörtner et al., 2004). 현재까지 해양 산성 화가 상어(Mustelus canis), 연어(Oncorhynchus gorbuscha) 및 큰 가시고기(Gasterosteus aculeatus)와 같은 어종에서 성장 저 하, 감각기능 손상 및 신경 전달물질 기능의 변화로 인한 행동 변화 등 다양한 장애를 유발하고, 물질수송과정에 영향을 미쳐 어류의 호흡 및 산소수송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Pörtner et al., 2004; Dixson et al., 2015; Ou et al., 2015; Lai et al., 2015). 따라서 지속적인 해양 산성화는 해양생 태계의 심각한 황폐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양 산성화가 해 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지구 의 해양 환경에 미리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 다(Arrigo, 2007). 또한 해양산성화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은 종 또는 개체군 간의 회복능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종에 따른 변화 분석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Pörtner, 1998). 숭어(Mugil cephalus)는 해수 및 담수에서 모 두 사육이 가능한 어종으로서, 삼투조절 능력과 다양한 환경 변 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숭어는 전 사육수의 pH변화가 숭어(Mugil cephalus)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문혜나·박진희·박천만·남궁진·김기혁·여인규*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6
Hye-Na Moon; In-Kyu Yeo
칼슘이온은 다양한 생리학적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이 며, 생명체의 기능과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다(Herberger and Loretz, 2013). 경골 어류의 주요 칼슘흡수 기관은 아가미이며, 아가미에 존재하는 염류세포가 세포 내 칼 슘수송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yan et al., 1981; Perry and Flik, 1988; Perry et al., 1992). 어류는 성장 과 번식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수중에 존재하는 칼슘을 섭취하 며, 담수어의 경우 사육수 또는 먹이와 같은 주변 매개체로부터 칼슘을 획득하여 혈중 칼슘량을 약 2-4 mmol로 유지한다(Flik and Verbost, 1993). 일반적으로 수중에는 충분한 양의 칼슘이 녹아있으며 어류 는 살아가는 동안 필요한 양의 칼슘을 수중으로부터 체내로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메리칸 시클리드(Cichlasoma urophthalmus) 및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등 의 어종에서는 추가적인 칼슘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havez-Sanchez et al., 2000; Shiau and Tseng, 2007). 또한 체 내로 흡수되는 칼슘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성장기와 성숙 기 같이 칼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의 어류는 칼슘을 보 충하기 위하여 체내의 골조직과 비늘에서 칼슘을 재흡수 하여 이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lik and Verbost, 1993). 경골 어류는 체내 칼슘량의 약 95%가 뼈와 비늘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Flik et al., 1986), 담수어의 경우 금 붕어(Carassius auratus), 송사리(Fundulus heteroclitus) 및 무 지개 송어(Oncorhynchus mykiss)에서 산란기와 같은 특정시 기에 비늘에서 칼슘이 재흡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arragher and Sumpter, 1991; Mugiya and Watabe, 1977; Persson et al., 1994, 1995). 그러나 이처럼 뼈와 비늘에서 칼슘 동원이 이루어지게 되면 면역력이 약화 되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 진다. 이를 보완하고자 사료에 칼슘을 첨가하는 연구가 다양하 게 진행되고 있으나 사료를 통한 칼슘흡수는 장에서 이루어지 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반면, 담수어는 장으로부터의 칼슘 흡수 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로 아가미를 통해 칼슘의 흡수가 환경수 내의 다양한 Ca 농도에 따른 시클리드(Maylandia lombardoi)의 생리적 변화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 2016
Kyungjun Ko; Chi-Heon Lee; Hye-Na Moon; Yeon-Ji Lee; Kichul Cho; Daekyung Kim; In-Kyu Yeo
− Because microalgae represent high growth rate than terrestrial plants, and it can accumulate significant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such as carotenoid and polyphenol in their body,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resources in bio-energy, and other industries. Although many studies has been performed about the microalgae-derived biochemical accumulation under various abiotic conditions such as different temperatures, salinities and light intensities, the studies about simultaneous effect of those parameters has rarely been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on of simultaneous effect of different salinity (10, 30, 50 psu) and temperatures (20, 25, 30 °C) on the changes of biomass, lipid, starch and photosynthetic pigment accumulation. As results, the highest growth rate was achieved at 30 °C and 30 psu in the both algal cultures, and the photosynthetic pigment, chlorophyll a and total carotenoid content, were increased in a temperature-dependent manner. The accumulation of lipid and starch contents exhibited different aspects under different combina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237 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hanges of microalg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under different salinities may be affected by the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5
Min Seok Jwa; In-Kyu Yeo
We observed that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 in Haliotis discus discus by low-dose irradiation with gamma ray.Irradiation with gamma ray was undertaken by using the low-level irradiation facility (60CO) in cooperation with the Institute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parent abalones were attached one by one and then fixed by using the rubber band to the front side of the fabricated case for irradiation with gamma ray. The experimental plots of irradiation with gamma ray were set as 10, 15, 20 and 25 Gy and the 25 female abalones and 10 male abalones were utilized for each experimental plot. The sperms and eggs were fertilized by setting an interval for each dose to prevent mixing with other experimental plots when fertilizing the sperms and eggs for each dose of irradiation with gamma ray. As for the fertility, it was confirmed to be 85% the control and 10 Gy groups, whereas it was found to be 80%, 65% and 50% in the 15 Gy, 20 Gy and 25 Gy groups, respectively. As a conclusion, the hatching rate and attachment rate were higher at 10 and 15 Gy than the other experimental plots, and the growth rate was higher at 20 Gy than the other experimental plots. Also the changes in lysozyme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stress of water tempera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ther experimental plot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at the end of 0 h. The changes in lysozyme activity have remained constant in all the experimental plots at the end of 12 h. These results allowed us to confirm that lysozyme was undertaking the biodefense action by reacting sensitively to the stress of water temperature in the control experimental plot. As for the other experimental plots, they are believed to avoid the biodefense mechanism due to the high degree of anti-parasite mechanism and anti-viral mechanism. Thus, it is believed that it would be imperative to conduct development and research on breeds that were potent for environmental tolerance by applying the method of irradiation with gamma ray to other marine animals and plant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5
In-Kyu Yeo; Yoon-Kyu Lim
Vitellogenin (Vtg)은 난생동물의 난황 전구체로, Estradiol17β (E2)의 자극에 의해 간에서 합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g and Ider, 1983; Mommsen and Walsh, 1988). 최근의 연구에 의해 Vtg의 합성이 E2와 같은 내인성 인 자에 의해 유도되는 것 이외에도,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화학물 질에 의해서도 그 합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수해양 동물 을 대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biomarker로서 Vtg에 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Jean MW et al., 1995; Hashimoto et al., 2000; Yeo and Choi, 2000). 한편, 외인성의 화학물질이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을 내분비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s) 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 쳐 인간이나 동물의 번식장애 등의 건강에 위해를 주는 것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Laughlin, 1986; John et al., 1995; Batley, 1996; An, 1998). 어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펄프공장 하류에 서식하는 농어류(Percafluviatilis sp.)에서 성숙지연, 생 식기의 퇴축, 성징의 결여 등이 관찰되었으며(Schwaiger et al., 1998; Tyler and Routledge, 1998), 오염지역의 강이나 호수 등 에 서식하는 어류들의 수컷 생식능 저하, 혈장 중의 성선자극호 르몬 또는 스테로이드의 저하, 2차 성징의 미숙 등 지금까지 다 양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Theo et a1., 1993; Knudsen et a1., 1997; Shilling et a1., 2000). 우리나라 제주도의 경우에는 양식산업이 발달하여 해안선을 따라 양식장들이 많고 청정해역으로서 수산자원의 보존에 많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의 Vitellogenin 분석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ELISA) 및 면역크로마토그래피분석법(ICG) 개발 여인규ᆞ임윤규*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 2007
Ginnae Ahn; Kil-Nam Kim; Seon-Heui Cha; Choon-Bok Song; Jehee Lee; Moon-Soo Heo; In-Kyu Yeo; Nam-Ho Lee; Youngheun Jee; Jin-Soo Kim; Min-Soo Heu; You-Jin Jeon
Process Biochemistry | 2006
Kil-Nam Kim; Soo-Jin Heo; Choon Bok Song; Jehee Lee; Moon-Soo Heo; In-Kyu Yeo; Kyoung Ah Kang; Jin Won Hyun; You-Jin J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