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Hotspot


Dive into the research topics where Kyung-Min Lee is active.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Kyung-Min Le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7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를 중심으로

변소연; Kyung-Min Le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의 관점과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좋은 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원과 개선이 필요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159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IPA 매트릭스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의 관점과 좋은 수업의 요소에서 중요도와 실행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좋은 수업의 요소에서 우선 지원되어야 할 내용에는 교육내용 1개, 교육방법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내용으로는 교육내용 2개, 교육방법 3개, 교육평가 6개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며, 현장에서 보다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7

새로운 시대 인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4차 산업혁명시대와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Kyung-Min Lee

본 연구는u3000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상과 행복교육에서u3000추구하는u3000인재상에u3000대한u3000담론을u3000토대로 유아교육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연구수행을 위해 온라인 자료검색 사이트(riss.kr, scholar. google.co.kr)에서 `4차u3000산업혁명시대의 인재상`과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한 연구물을 검색하여 담론을 분석하였다. 그u3000결과,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u3000핵심역량은 새로운 지식과 소양을 갖춘 창의적이며 합리적인 문제해결 역량, 소통과 협력의 리더십을 갖춘 사회적 역량, 자신과 타인의 고유특성을 알고 존중할 수 있는 인성역량 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다. 둘째,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인재상과 역량은 존재와 관계의 가치를 고양하는 인성역량과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는 자기관리역량에 집중되어 있었다.u3000본u3000연구결과는u3000유아교육에서u30004차u3000산업혁명시대가u3000요구하는u3000대안적 인재상과 역량을 탐구하기 위해u3000행복교육과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에u3000주목할u3000만한u3000충분한u3000교육적 가치가u3000있으며,u3000이제 탐구가 시작된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는 바람직한 유아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해 유아상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7

Experienc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Picture Book Reading Process

Yoon hyekyung; Kyung-Min Lee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관점에서 드러나는 그림책 읽기 경험양상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0~만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8명으로 매주 1회, 회당 2시간정도, 총 12회, 그림책 읽기 과정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읽기 경험에 참여한 어머니의 면담, 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트라이앵귤레이션(triangulation)을 준거로(Mathison, 1998) 다양한 자료 수집, 심층 기술을 하였으며(Denzin, 1989)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 3인과 독립적으로 자료 분석에 참여하는 다중 참여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그림책 읽기 과정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양상은 그림책 재발견, 자녀와의 그림책 읽기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그림책 읽기 경험은 유아뿐만 아니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도 그림책의 구성요소와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긍정적인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부모-자녀와의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경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in happiness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Min Lee; 변소연; 윤혜경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5

A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Happiness and Job Relate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Kyung-Min Lee; 박주연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2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role performing ability

Kyung-Min Lee; 이경애; YounJung Choi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2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happiness for the educators in early childhood

최윤정; Kyung-Min Le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0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nalysis amongpreschool educators’ job satisfaction, flow and life satisfaction

Choi Youn-Jung; Kyung-Min Le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Focus Group Interview for Exploring Constructive Components and valid assessment Method of Happiness of Young Children

Kyung-Min Le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A comparative study of happiness and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from South Korea and Vietnam

Kyung-Min Lee

Collaboration


Dive into the Kyung-Min Lee's collaboration.

Researchain Logo
Decentralizing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