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Hotspot


Dive into the research topics where Pil Joon Kang is active.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Pil Joon Kang.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4

Notes on Marine Algal Species from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해양 생물은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해조류 자원은 식용, 유용 유기물질 추출, 바이오연료 생산, 탄소 흡수 등과 같은 많은 잠재적인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한국산 자생생물 조사의 일환으로 Halymenia latifolia P.L. Crouan et H.M. Crouan ex Kutzing, Grateloupia livida (Harvey) Yamada and Hypnea boergesenii Tanaka의 3종이 동해 연안에서 채집되었다. 본 3종에 대한 형태학 및 분류학적 주해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다. 이 중에서 Halymenia latifolia는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여기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3

Notes on Three Marine Algal Species from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한국산 해조 3종, Umbraulva olivascens (P.J.L. Dangeard) G. Furnari, Bryopsis minor Womersley, Sargassum polycystum C. Agardh에 대한 형태학적 및 분류학적 주해가 제시된다. Umbraulva olivascens는 뚜렷한 올리브 체색, 파상형 연변, 엽체의 구멍 및 조하대 서식처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Bryopsis minor는 작은 조체, 모든 방향에서 많은 분지, 기부에 잘록함이 없는 선형의 소지, 두드러진 가지 흔적을 결여하는 축, 뚜렷한 중심 피레노이드를 갖는 엽록체, 주축과 비슷한 길이의 가지 및 뚜렷하지 않은 주축을 갖는 것이 특징적이다. Sargassum polycystum은 조체 모든 부분에서 나는 원통형 내지난형의 돌기, 가시가 있는 뚜렷한 중륵을 갖는 전연 내지 다소 거치연의 잎과 드물게 나는 기낭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3종은 여기서 한국 해조상에 처음 기록된다.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2015

An Ecological Evaluation of Marine Algal Vegetation in the Coastal Waters of Goseong, Southern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해조상은 종종 수계환경을 모니터 할 수 있는 생물지표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Orfanidis et al., 2001; Pinedo et al., 2007; Wells et al., 2007). 특히, 장기간에 걸쳐서 축적된 해조상 자료 는 생물군집에 미치는 수계환경의 변화를 추정하는데 유용하 다 (Brown et al., 1990; Rindi and Guiry, 2004). 이와 관련하 여 해조군집의 분석에 있어서 해조상을 기능형군으로 구분하 여, 이를 기초로 생태학적 상태그룹(ecological state group)의 평가를 통한 특정 지역의 환경교란 여부의 진단은 신뢰할 수 있 는 생태계 평가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Littler and Littler, 1984; Orfanidis et al., 2003). 한국에서의 이러한 생태학적 평가는 동·서·남해안 일대에서 이루어 진 바 있으며(Park et al., 2007; Choi, 2008; Kim et al., 2011), 이들 연구는 이러한 연구적 접근을 통해 조사지역의 해 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연안환경에 대 한 인위적인 스트레스의 강도를 추정하고 관리할 수 있음을 보 고하였다. 한국의 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동·서해안에 비해 복잡 한 해안선과 다수의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Kang, 1966). 본 연 구 지역인 고성 연안은 지리적으로는 남해안의 동부에 위치하 나 다소 내만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으로 남해안 일대의 전반적인 해조식생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 히, 근래에는 지역 특화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많은 인위적 환경교란 유발요인이 상존하고 있어서 해조류 군집구조의 변화 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지역 일대에서 출현하는 해조류의 계절 적 변동양상과 종조성 및 생물량에 관한 정성∙정량적 자료를 기 초로 생태학적 상태그룹을 판별하고, 조사지역의 해조식생에 부과되는 환경 스트레스 상태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한국 남해안 고성 연안의 해조식생의 생태학적 평가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6

New Record of Two Marine Algal Species in Korea: Bryopsis triploramosa and Sargassum polyporum

Pil Joon Kang; Ki Wan Nam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formation of two marine algae collected from Korea is given. One belonging to a green alga, is characterized by small size up to 4 cm high, much branched thalli on all sides, slender and linear branchlets which is constricted near base, axes without prominent branch scars, chloroplasts with a prominent central pyrenoid. The other, as a brown alga, is distinct from other Korean species in having cylindrical elevated projections at all parts of thallus axis, leaves with slightly serrulate margin together with distinct midrib bearing spines and absence to rarely occurred vesicles. In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se two species are nested in the same clade with Bryopsis triploramosa and Sargassum polyporum,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se two species are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marine algal flora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5

Notes on Two Marine Algal Halymeniacean Species from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Two marine algal halymeniacean species were collected from eastern coast of Korea during the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of algae. One is distinct from other similar species by foliose thalli with irregular shape and several branches and linear proliferations without division. The other is characterized by indistinct midrib, foliose unbranched thalli and refractive ganglioid cells in medulla. These two species are identified as Grateloupia latissima and Cryptonemia yendoi based on the morphological features, respectively. Morphological and taxonomic notes on these specie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is is the first record of G. latissima and C. yendoi from Korea.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5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of Marine Algae in Korea: New Record of Hypnea chordacea Kützing (Gigartinales, Rhodophyta)

Pil Joon Kang; Ki Wan Nam

In the course of the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a red algal Hypnea species was collected from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pecies is distinct from other species of Hypnea in having percurrent and cylindrical axis, linear to lanceolate branchlets in axes except their lower portion and medullary cell walls without lenticular thickenings. This Korean entity is identified as Hypnea chordacea Kutzing (Gigartinales, Rhodophyta) based on those feature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Hypnea chordacea in Korea.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4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of Marine Algae in Korea: New Record of Hypnea flagelliformis (Cystocloniaceae, Gigartinales)

Pil Joon Kang; Ki Wan Nam

한국의 자생해조 발굴연구의 과정에서 털가시우무(Hypnea flagelliformis 가 동 Greville ex J. Agardh) 해 연안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뚜렷한 주축 잘록한 기부의 가지 주축 및 가지에 밀생하는 다수의 . , , 짧은 소지가 있으며 수세포 벽에 원형질 비후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털가시우무는 한국산 미기 , . 록종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2014

New Record of Two Marine Green Algal Species from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한국산 자생생물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해양 녹조류 2종, Caulerpa peltata J.V. Lamouroux 및 Codium geppiorum O.C. Schmidt이 채집되었고, 본 종에 대한 형태학적 및 분류학적 관찰이 수행되었다. Caulerpa peltata는 직립지에서 선형의 소지를 방사상으로 낸다는 점에서 속내의 다른 한국산 종과 구분된다. Codium geppiorum은 뭉툭한 정단부의 포낭, 부풀지 않은 가지 정단부 및 인접 가지 사이의 2차적인 유합 흔적인 돌출된 혹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 2종은 미기록 종으로 여기서 한국 해조상에 처음 보고된다.


수산해양교육연구 | 2015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of Marine Algae in Korea

Pil Joon Kang; Ki Wan Nam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2013

New Record of some red algal species (Rhodophyta) from Korea

So Young Jeong; Boo Yeon Won; Pil Joon Kang; Jeong Chan Kang; Myung Sook Kim; Ki Wan Nam; Tae Oh Cho

Collaboration


Dive into the Pil Joon Kang's collaboration.

Top Co-Authors

Avatar

Ki Wan Na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View shared research outputs
Top Co-Authors

Avatar
Top Co-Authors

Avatar

Myung Sook Kim

Jeju National University

View shared research outputs
Top Co-Authors

Avatar
Researchain Logo
Decentralizing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