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Young-Sil Ki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8
Young-Sil Kim; 고은실; 최진숙
본 연구는 표상물의 종류 및 공간관계에 따라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 2세 영아 4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세 영아는 표상물이 비디오일 때보다 사진일 경우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 2세 영아는 위상적 과제보다 위상적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과제에서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표상물의 종류 및 공간관계에 따라 연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상물이 비디오인 경우에 위상적 과제에서 연령 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7
Young-Sil Kim; 정경애; 최진숙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읽기를 처음 시작하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단어 인지과정에서 소리와 철자의 지식을 활용함에 있어 유추 활동이 읽기,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리-철자 관계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단서 단어와 전이단어를 선정하여, 10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리와 철자 관계의 유추 활동을 위해 포노그램을 활용한 철자 조각(letter tile)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추 활동이 학생들의 음운인식, 읽기, 쓰기에 모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철자조각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단어를 읽고 쓸 때, 유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펠링 패턴 인식에 효과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어휘 목록의 수정보완, 교과서 내용의 개선책,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1
윤진주; Young-Sil Ki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Young-Sil Kim; 정영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Young-Sil Kim; 정영실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6
Shim Ae Sun; Young-Sil Ki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3
In Jeong-Yi; Young-Sil Kim; 곽경화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1
김덕임; Young-Sil Ki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0
김덕임; Young-Sil Ki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2010
Young-Sil Kim; 윤진주; 박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