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hwan Park
POSCO
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Younghwan Park.
Science and Technology of Welding and Joining | 2014
Jinsoo Yoo; Kyutae Han; Younghwan Park; Jong-Kyo Choi; Chung Kyun Lee
Abstract Solidification cracking susceptibilities of high Mn steel welds were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A longitudinal Varestraint technique was utilised to assess the solidification cracking behaviours of the fusion zone. High Mn steel welds were more susceptible to solidification cracking than 304 and 202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s, however, they were less susceptible than 310S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s. Extensive segregations of Mn and C took place at the dendritic and grain boundaries in the weld metal, and according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hot cracking susceptibility of high Mn steel by the enlargement of solidification temperature range. Further, continuous γ-(Fe,Mn)3C eutectic phases formed at 1090°C along the grain boundary primarily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olidification cracking sensitivity in high Mn steel.
Journal of the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 2009
Il-Wook Han; Younghwan Park; Gyubaek An; Young-Ho An
최근 세계 인구의 증가와 생활경제의 성장으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대규모의 해상활동 이 급격하게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박수요 또한 눈에 띠게 증가 하고 있으며, 2008년 말 시점에서 세계 선박수주량은 42백만CGT를 넘었으며, 향후 100백만 CGT를 넘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선박은 대량의 강재가 용접에 의하여 조립된 대형 용 접구조물이다. 따라서 조선소에서는 종래의 용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의 조립방법을 제안하여 적용하 고 있으며, 강재측면에서도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여 신 강종의 개발 및 새로운 용접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서 고강도 극후물 재가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복강도가 460 MPa 급인 TMCP 고강도강이 개발되어 선박건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고강도 극후물강재의 적용에 따라서, 해 상운송에 대한 안전.환경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해사기관)를 중심으로 선박관련 규제가 강화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와 함께 선박에 적용되는 강재에 대한 요구조건 또 한 더욱 엄격하게 적용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세계선급협회에서는 새로운 고강도강의 출현에 따른 안전성의 평가와 보다 안전한 선박의 건조를 위한 새로운 선급규정의 제정을 검토 중에 있으며, 특히 항복 강도가 460MPa급인 TMCP 고강도강의 실선 적용에 따 른 고강도의 파괴안전성, 피로강도 문제 등에 많은 관심 을 가지고 NK, GL, ABS 등의 선급협회를 중심으로 신 강재에 대한 새로운 선급규정이 만들어 지고 있다. 한편, 해양구조물의 경우는 최근 두 가지 측면의 환경 변화에 대응해서 발전 해 나가고 있다. 첫째 근해의 석 유 및 천연가스 자원의 고갈에 따른 심해저의 자원 개 발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의 형태가 고정 식에서 부유식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의 경량화 및 대형화 요구와 함께, 요구되는 강재 또한 고 강도화 되어서 YS 345Mpa 급 강재뿐만 아니라 YS 420 및 460Mpa급 강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둘째 극저온 지역에서의 자원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강재는 높은 저온 인성이 요구되며, 특히 모재의 경우는 -60°C에서, 용접열영향부의 경우는 -40°C에서의 CTOD (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특성이 요구되고 있 다. 최근에는 일부 극지방에 사용되는 강재의 경우 용접 열영향부에 대해서 까지도 -60°C의 CTOD 특성을 요구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조선 및 해양 구조물에 사용되 는 강재가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고인성 고강도강 재가 요구되므로, 조선 및 해양구조용 강재의 지금까지 개발현황 및 최근 이슈가 되는 용접부에서 요구되는 특 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다양한 강재의 개발과 함께 개발 된 용접재료의 개발현황 및 요구특성에 대하여 소개 하 고자 한다.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 2015
Jaehong Yoo; Bongyoon Kim; Younghwan Park; Changhee Lee
The Twenty-second International Offshore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 2012
Jong K. Choi; Soon-Gi Lee; Younghwan Park; Il-Wook Han; J.W. Morris
AIAA/ASCE/AHS/ASC Structures, Structural Dynamics, and Materials Conference | 2002
Daesik Kim; Younghwan Park; In Lee; Oh Joon Kwon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B-process Metallurgy and Materials Processing Science | 2003
Younghwan Park; Jong-Wan Kim; Sun-Koo Kim; Yong-Deuk Lee; Zin-Hyoung Lee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 2014
Jaehong Yoo; Kyutae Han; Younghwan Park; Changhee Lee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 2014
Jaehong Yoo; Kyutae Han; Younghwan Park; Changhee Lee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Offshore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 2011
In-Shik Suh; Sang-Ho Kim; Younghwan Park; Woo-Gyeom Kim; Chang-Sun Lee; Jae-Ki Lee
Archive | 2012
Jong-Kyo Choi; Woo-Kil Jang; Younghwan Park; Hong-Ju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