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ngseog Ryu
Korea University
Network
Latest external collaboration on country level. Dive into details by clicking on the dots.
Publication
Featured researches published by Gangseog Ryu.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 2007
Gangseog Ryu; Elison Ai Ching Lim; Lynn Thor Ling Tan; Young Jee Han
This paper deals with the preattentive processing of banner advertisements under competitive interference conditions. In the absence of competitive interference, our experimental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hemispheric lateralization: pictorial banner ads were evaluated more positively when positioned on the left (vs. right) side of a webpage,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for verbal banner ads. In contrast, this interaction disappeared in the presence of competitive interference. Specifically, verbal banner ads received more positive evaluations than pictorial ads when they featured products from the same category. In addition, banner ads were more liked when positioned on the left (vs. right) side when they were of the same ad modalit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 2018
Seon Min Lee; Gangseog Ryu; Seungwoo Chun
We examined how individuals would respond to scarcity appeals when they felt low (vs. high) in personal control. We proposed that scarcity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compensate for loss of control because it symbolizes distinctiveness, stimulates urgency,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obtain resources. Results from 2 experiments confirmed our prediction. In Study 1, participants (64 Korean college students) indicated a greater intention to purchase a limited-edition product when they perceived low (vs. high) control. In Study 2, participants (228 Korean college students) who perceived low (vs. high) control chose a larger-sized product more often when the product used an only-time frame than when it did an any-time frame.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introducing a compensatory paradigm to scarcity effects and identifying its promotional use as a new mechanism for compensatory control.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 2018
Kikyoung Park; Gangseog Ryu
기업이 고객대상으로 시행하는 고객만족도 조사는 서비스 품질향상이라는 목적 하에 기업의 직원 관리를 위한 내부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에 더하여 기업이 내부 목적으로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활용함을 명시하는 것이 기업 태도에 어떤 차별된 영향을 미치게 될지를 고객-기업 간 관계규범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심리적 기제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목적 유형이 다를 때 기업 태도의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첫 번째 가설 및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업과 교환 관계인 고객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가 기업 내부 목적과 연계됨을 알면 그러한 사실을 알지 못한 조건에 비하여 덜 호의적인 기업 태도를 보이는 반면, 공동체 관계인 고객은 더 호의적인 기업 태도를 보였다. 아울러 본 상호작용 결과는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에 대한 호의성이 매개되었고, 실제 이용경험이 있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은 고객만족도 조사 참여결과를 직원 보상과 연계된 목적 대비 직원의 교육훈련 확인 목적으로 활용하였을 때의 기업 태도에 관한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업과 교환 관계인 고객들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의 목적이 직원들의 교육훈련 확인을 위한 것일 때 직원 보상을 위함인 조건에 비하여 더 호의적인 기업 태도를 보였다. 이에 반해, 기업과 공동체 관계에 놓인 고객들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목적의 유형 간 차별된 기업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목적을 사후적으로 알게 되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때 고객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차이만으로 만족도 조사와 기업에 대한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여 학문적 공헌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2013
Peeter W.J. Verlegh; Gangseog Ryu; Mirjam Tuk; Lawrence Feick
Psychology & Marketing | 2006
Gangseog Ryu; Jongchul Park; Lawrence Feick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 2009
Gangseog Ryu; Jin K. Ha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2014
Gangseog Ryu; Kwanho Suk; Song-Oh Yoon; Jongchul Park
Sustainability | 2018
Kikyoung Park; Gangseog Ryu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 2017
Kikyoung Park; Gangseog Ryu; Youngjee Ha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2011
Kikyoung Park; Gangseog Ryu